
안녕하세요. 치과일타 닥터꼬집 입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가 세워진 치아는 재치료가 어렵다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요.
하지만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장비, 그리고 포기하지 않고 시도하는 마음이 있다면 복잡해보이는 치료라도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케이스가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은 포스트가 4개나 세워진 어금니의 재신경치료 케이스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 초기 진단과 판단

이번 케이스는 기존 신경치료 후 금속 기둥 4개가 삽입된 어금니에서 치근단 염증이 재발한 상태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많은 수의 기둥이 있는 경우 제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보존치료를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포스트가 박힌 치아라도, 크랙라인만 발견되지 않는다면 충분히 제거 후 신경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치료 가능 여부를 치아 내부를 뜯어 직접 확인해보기로 했습니다.

치아 두 개가 스플린트 크라운으로 연결된 상태였고, 방사선사진을 확인해보니 두 치아 모두 각각 4개의 포스트가 들어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치근단 염증이 J자 모양으로 퍼져 크랙 가능성이 높다고 의심되었고, 다른 치아는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 포스트 제거 및 재신경치료
크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 스플린트 크라운을 제거한 후 치아 내부를 확인했습니다.
다행히 크랙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지 않아, 신경치료를 시도했으며 레진 코어를 제거하고, 4개의 포스트를 초음파 기구로 하나씩 제거했습니다.
해당 치아는 뿌리 끝까지 금속 기둥이 고정되어 있었고, 제거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지만 두 차례에 걸쳐 모두 제거에 성공했습니다.
기둥 제거 후 내부 감염 조직을 제거하고, 총 4개의 신경관에 대해 재신경치료를 시행했습니다.
신경치료 직후 통증이 사라졌으며 엑스레이 상 염증 소견도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함께 연결된 염증이 없던 다른 치아는 기둥 제거가 부담스러웠기에 기존 기둥을 유지한 채 레진 코어만 교체하고 보철만 새로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 파이버 포스트로 치관 보강 및 단일 크라운 수복
치질이 많이 손상되어 남아있는 부분이 얇았기 때문에, 파이버 포스트 두 개를 앞 뒤로 삽입해 구조적으로 보강했습니다.
반대쪽 치아는 기존 기둥을 유지한 채 크라운만 단독으로 다시 제작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두 개의 치아를 스플린트 형태로 묶지 않고, 각각 독립된 크라운으로 수복했습니다.
치실 사용이 용이하고, 이후 어느 하나에 문제가 생겨도 단독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단일 보철로의 전환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 마무리 : 포스트와 스플린트 크라운 사용 시 주의사항
이번 케이스는 포스트 4개가 삽입된 복잡한 보철물에서도 충분히 재신경치료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마무리하며 함께 살펴보고 싶은 점은 포스트의 사용 원칙과 스플린트 크라운의 문제점인데요.

우선 포스트(치아 기둥)는 치관(치아 상단부)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사용합니다.
다만 포스트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치아가 더 단단히 강화되지 않기에 최소 개수로만 삽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포스트가 삽입되어 있다고해서 재치료가 불가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둥 제거 가능성을 신중히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초음파 기구 등을 통해 우선 제거를 시도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스플린트 크라운 사용 시 주의사항입니다.
스플린트 크라운은 두 개 이상의 치아를 하나의 보철로 묶은 것입니다. 이 경우 처음엔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지 않아 편하다고 느낄 수 있으나, 결국 치실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개별 위생관리가 어렵습니다.
또한 하나의 치아가 안에서 썩거나 부러지거나 기타 문제가 발견했을 때에도, 건강한 치아와 묶여있기 때문에 인지하기 어려워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지 못해 장기적으로 손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플린트 크라운보다는 단일 크라운 수복이 장기적인 구강 건강에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구강 구조에 따라 치료 전략은 달라질 수 있지만, 이번 케이스는 보존 가능성이 있었던 치아에 대해 적극적인 재치료 시도가 성공한 케이스로 볼 수 있겠습니다.

연세마이덴치과는 앞으로도 자연치 보존을 최우선에 두고 원칙적인 진료를 진행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본 게시물은 「의료법」 제56조 및 시행령 제23조에 따라 진료 유도가 아닌 일반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개인별 증상과 상태에 따라 치료법과 결과가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의료진의 직접 진료를 통해 받으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게시물이며, 의료광고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Info > 내 치아 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근단 염증 재신경치료 후기, 임플란트 대신 치아보존 성공사례 광화문치과 (2) | 2025.07.18 |
---|---|
신경치료 실패 원인, 어금니 통증 재신경치료 전 주의사항 광화문치과 (0) | 2025.07.16 |
녹은 잇몸 어금니 염증, 발치 대신 보존 가능한 조건은? 광화문치과 (0) | 2025.07.15 |
잇몸 고름, 항생제로 해결 안 되면? 재신경치료로 자연치 보존 증례 종로치과 (2) | 2025.07.09 |
자연치아 지키는 치아별 맞춤 정기검진 가이드 광화문치과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