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치과일타 닥터꼬집 입니다.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에서 시간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나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재신경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는지’, 아니면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지’를 두고 고민하게 되는데요.
특히, 엑스레이에서 치근단 주변에 염증이 보이거나 크랙(치아 파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더욱 결정이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무조건 발치를 선택하기 전에, 치아 내부의 감염 원인을 제거하고 회복 가능성을 확인하는 재신경치료를 먼저 시도해보는 것도 중요한 치료 전략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신경치료를 통해 염증이 해소되고, 뼈까지 회복된 실제 케이스를 중심으로 치료 과정과 경과 관찰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치료 전 진단 : 치근단 염증, 반드시 발치해야 할까?

과거 신경치료를 받은 하악 어금니에서 뿌리 끝 부위에 염증이 관찰되었습니다.
엑스레이상 해당 부위는 일반적인 정상 치아와 달리 치근단 주변이 어둡고, 경계가 불명확한 형태를 보였습니다.
이는 뼈가 감염에 의해 흡수된 상태로, 흔히 말하는 만성 치근단염증 상태로 판단됩니다.

치근단 염증이 J자 모양으로 길쭉하게 퍼져 있는 경우, 보통 수직치근파절이나 치아 크랙을 의심하게 되는데요.
다만 명확한 증거가 없는 이상 발치와 임플란트를 선택하기보다는
보존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집니다.
■ 재신경치료 진행: 추가 신경관 발견과 근본 원인 제거
해당 치아는 기존 보철물 제거 후,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내부를 정밀 관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과거 치료 시 놓쳐진 추가 신경관이 발견되었고, 그 부위가 감염의 원인으로 의심되었습니다.
이미 치료된 두 개의 신경관에 더해, 새로 찾은 신경관까지 포함해 총 세 개의 신경관을 재치료했습니다.


염증의 근본 원인이 되는 내부 감염조직을 모두 제거하고,
근관 내 세균 밀도를 낮춘 후 신경관 충전까지 마친 상태에서 크라운 수복까지 완료했습니다.
■ 크라운 수복 이후에도 이어진 J자 모양 염증 관찰

크라운 수복 후에도 엑스레이상 치근단 염증은 여전히 관찰되었습니다.
병변이 길쭉한 J자 모양 염증으로 전형적인 크랙 의심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치료 중 명확한 크랙 소견은 보이지 않았기에,
치료 후 경과 관찰을 통해 뼈 회복 여부와 증상의 소실 여부를 함께 확인했습니다.
■ 2년 차 경과 관찰로 확인한 잇몸뼈 회복 과정
6개월 간격으로 정기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경과를 관찰했습니다.
치료 직후에는 치근단 주변이 어둡고 흐릿했지만, 1년 후에는 일부 부위에 뼈가 다시 형성되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2년 차에는 병변 부위 전체가 하얗게 채워지며 뼈가 회복된 소견을 보였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 항생제 복용 없이도 증상 재발 없이 기능적으로 문제없이 사용 가능했으며,
이 과정에서 크랙이나 파절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점도 치료 성공을 입증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 재신경치료의 성공을 위한 조건

재신경치료는 일반적인 신경치료보다 성공률이 낮은 편입니다. 다만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예후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 미세현미경을 활용한 정밀 시야 확보
- CT 등 영상진단을 통한 병소 및 구조 분석
- 기존 치료에서 놓친 신경관 발견 및 재치료
- 보존 가능한 치질 구조의 유지
- 치료 후 장기간 경과 관찰
이번 케이스는 위의 조건을 충족하면서 치료가 진행되었고, 결과적으로 뼈의 회복과 기능 유지까지 확인되었습니다.
■ 마무리 : 섣불리 치아를 포기하지 않도록

치근단 염증이 생긴 치아에서, 크랙이 의심된다는 이유만으로
곧바로 발치와 임플란트를 결정하는 것은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명확한 파절 소견이 없는 경우에는, 재신경치료를 통한 회복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장기적인 치아 보존에 유리합니다.
이번 사례는 신경관을 놓치지 않고 정확히 치료하고, 보철 후 장기 경과까지 추적한 끝에 치아를 보존할 수 있었던 케이스입니다.
재신경치료는 치아를 보존할 마지막 기회이기에, 너무 빨리 임플란트를 결정하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 전략을 통해 치아의 생존 가능성을 신중하게 평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게시물은 「의료법」 제56조 및 시행령 제23조에 따라 진료 유도가 아닌 일반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개인별 증상과 상태에 따라 치료법과 결과가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의료진의 직접 진료를 통해 받으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게시물이며, 의료광고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Info > 내 치아 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치료 실패 원인, 어금니 통증 재신경치료 전 주의사항 광화문치과 (0) | 2025.07.16 |
---|---|
녹은 잇몸 어금니 염증, 발치 대신 보존 가능한 조건은? 광화문치과 (0) | 2025.07.15 |
잇몸 고름, 항생제로 해결 안 되면? 재신경치료로 자연치 보존 증례 종로치과 (2) | 2025.07.09 |
자연치아 지키는 치아별 맞춤 정기검진 가이드 광화문치과 (0) | 2025.06.26 |
염증 치아, 살릴 수 있을까? 재신경치료와 발치 후 임플란트 기준 종로치과 (2)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