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게시글은 의료법 제56조 및 동법 시행령을 준수하여
연세마이덴치과에서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 환자분의 동의를 받아 치료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공익성 건강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상업적 광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중한 치아를 지키는
연세마이덴치과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케이스는 신경치료를 받았지만
통증이 계속되었던 환자분의 치료 과정입니다.

신경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발치를 해야 하는 걸까요?

이 케이스를 통해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생기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신경치료 후 통증 지속, 치료 방법은?

 


이 환자분은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에
지속적인 통증을 느껴 내원하셨습니다.

기존 치료를 받았지만 염증이 남아 있고,
뿌리 쪽에 불편감이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다른 치과에서는 "신경치료를 했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발치 후 임플란트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으셨지만,

한 번 더 치료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싶어 찾아오셨습니다.


치료 전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여 상태를 확인했는데요,

까맣게 녹은 뼈의 양상이 한쪽 치아 뿌리를 따라
이어져 있는 양상이었습니다.

이렇게 치아 종축을 따라서 뼈가 녹은 경우
해당 뿌리의 크랙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염증의 양상이 명확한 크랙의 증거는 아니기 때문에
재신경치료로 살리는 치료를 먼저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재신경치료 과정

 


1️⃣ 기존 보철물 및 충전재 제거

치아 내부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기존 보철물을 뜯어서 내부를 확인했는데요,

정확한 상태 확인을 위해서
이전 치료 시 내부를 채웠던 충전재 등 모든 재료를 제거하여
내부를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주었습니다.

 


2️⃣ 신경관 추가 탐색

확인 결과 뒤쪽의 신경관은 신경치료가 되었지만,

앞쪽의 신경관은 찾아지지 않아서
별도의 치료 없이 재료로 덮혀져 있던게 확인되었습니다.

못찾은 신경관이 남아있을 경우 이 신경관에 염증이 발생하여
치아의 종축을 따라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관을 찾는 과정에서 미세현미경을 활용하여
놓친 신경관을 추가로 발견하였습니다.

 


기존 치료에서 누락된 신경관까지 모두 치료한 후,
염된 조직을 제거하고 철저한 소독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신경관을 밀폐하여 세균이 침투하지 않도록
재신경치료를 완료하였습니다.

 

 

3️⃣ 염증 관리 및 경과 관찰

신경치료 직후 엑스레이를 확인했을 때,
뼈가 일부 손실된 상태였지만 크랙이 확인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경과 관찰을 진행했습니다.


1년 후 재검진 결과,
뼈가 새롭게 생성되었고 염증이 사라진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환자분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정기 검진을 통해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계십니다.


신경치료 후 임플란트? 먼저 해야하는 치료

 

치료 전후 비교

✔ 기존 신경치료에서 놓친 신경관 발견 및 치료

✔ 신경치료 후 1년 경과 관찰 결과, 뼈 재생 및 염증 해결

✔ 최종 보철물 제작 후 기능적·심미적 회복

환자분께서는 치료 후 더 이상 통증을 느끼지 않으셨고,
기능적으로도 불편함 없이 잘 사용하고 계십니다.

다만,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안내해드렸습니다.

신경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된다면,
반드시 발치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신경관을 완전히 치료하지 못했거나 염증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재신경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릴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 신경치료 후에도 불편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 정밀 검진을 통해 원인을 분석하고, 추가 치료가 가능한지 상담을 받아보세요!

 


오늘 소개해드린 케이스가 비슷한 고민을
가진 환자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환자분들께 도움이 되는 치료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모든 치료는 개인의 구강 상태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 게시글의 치료 결과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 시술 전 담당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여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치료 케이스를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치과일타 닥터꼬집 영상보기🔻
(이미지 클릭시 유튜브로 바로연결)


 

 

 

 

안녕하세요, 소중한 치아를 지키는
연세마이덴치과입니다!

저희 병원은 <내 치아 지키기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어서 그런지,
다른 병원에서 발치 진단을 받고 오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염증이 크고, 뼈가 녹았으니 발치해야 합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별다른 고민 없이 임플란트 치료로 바로 넘어가는 분들이 많죠.

하지만 그중에서도 "정말 뽑아야 하는지?", "혹시 살릴 방법이 없을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저희 병원을 찾아오세요.

실제로, 치위생사 선생님처럼 치과에서 일하는 직원들조차도
신경 치료 후 염증이 생기면 발치 임플란트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꼭 그런 건 아닙니다!

오늘은 신경치료 후에도 불편했던 치아를
재신경치료를 통해 살린 사례를 소개해 드릴게요!


신경치료 후 잇몸 염증 원인

 

환자분은 몇 년 전에 오른쪽 위 어금니 신경치료를 받았지만,
여전히 불편함이 있고 염증이 있는 것 같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참을 만한 통증이었기 때문에
치료를 계속 미루다가 이제야 병원을 찾으신 거죠.

방사선 촬영을 해보니, 뿌리 끝에 염증이 확인되었고,
뼈가 녹아 있는 상태였습니다.

기존 치과에서는 "많이 아프지 않으니 그냥 두자"고 했지만,
염증이 있다는 것은 이미 뼈가 녹고 있다는 증거!

단순히 참고 지낼 문제가 아니었어요.

그래서 저는 환자분께 "염증의 원인은 결국 세균이며,
이 세균 문제를 해결하면 뼈가 다시 차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설명드렸고,

재신경치료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재신경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것

 


✔️ 첫 번째 단계: 기존 보철물과 재료 제거

우선 오래된 크라운과 보철물을 제거한 뒤,
과거 신경치료 때 사용되었던 재료들을 전부 제거했습니다.

모든 재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재신경치료의 핵심!

이유는 간단해요.
오래된 충전재에 세균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
두 번째 단계: 신경관 소독 및 멸균

보철물을 들어내니 신경관 내부가 상당히 오염된 상태였어요.

따라서 2~3회에 걸쳐 신경관을 소독하고 멸균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단순히 염증 부위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남아 있는 세균을 철저히 제거하는 것이 치료 성공의 관건!

 

✔️ 세 번째 단계: 추가 신경관 탐색

재신경치료를 할 때는 놓치는 신경관이 없도록
모든 신경관을 꼼꼼히 찾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세현미경을 통해 숨겨져 있는 신경관은 없는지
꼼꼼히 찾아주어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
네 번째 단계: 신경관 밀폐 및 보철 치료

재신경치료 후에는 내부로 세균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때 임시 재료로 마무리할 경우, 다시 세균이 유입될 수 있어요.

복합 레진과 같이 치아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재료로
치근단 밀폐(Apical Sealing)를 했습니다.

이 환자분은 치관부도 별로 남지 않아서 치아 기둥인 파이버 포스트로 추가해주고,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씌워 자연스럽게 마무리를 했습니다.


잇몸 염증 재신경치료 경과


환자분은 치료 직후 "치아가 훨씬 편해졌다"고 하셨고,
지속적인 관리도 받으셨습니다.

하지만 재신경치료 경과에서 가장 중요한 건
'뼈가 다시 차오르는지'의 여부입니다.

신경치료 후에도 뿌리 끝 염증이 즉시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뼈가 다시 차오르는 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환자분께서는 저희 병원에서 꾸준히 정기검진을 이어가셨는데요,

치료 2년 후 경과를 보면 까맣게 녹았던 뿌리 부분의 잇몸 뼈가
하얗게 완전히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잇몸에 염증이 있다", "뿌리 끝에 염증이 보인다"는 진단을 받으면
대부분 임플란트를 떠올리지만,
사실 신경치료나 재신경치료로 충분히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치아 염증은 결국 "세균" 문제!

세균이 문제라면, 재신경치료로 내부를 깨끗이 하면 된다!

치아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면, 발치보다 훨씬 좋은 선택이다!

물론 모든 경우에 신경치료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증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치료하면 치아를 살릴 확률이 높습니다.

 


이 환자분처럼 "많이 아프지 않으니까 그냥 쓰자"라고 방치하다가
결국 발치까지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신경치료 후에도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뿌리 끝 염증이 있는 경우 재신경치료를 통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발치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임플란트가 답은 아닙니다.

한 번 더 진단을 받아보고,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종로] 연세마이덴치과로 전화 및 카카오톡을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해당 치료 케이스를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치과일타 닥터꼬집 영상보기🔻
(이미지 클릭시 유튜브로 바로연결)


🔻 연세마이덴치과 상담하기 🔻
(이미지 클릭시 카카오톡으로 바로연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