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연세마이덴치과 치과일타 닥터꼬집 입니다.
오늘은 잇몸에 반복적으로 고름이 재발하는 치아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염증이 반복되는 치아는 제대로 치료 받지 못할 경우, [항생제 복용 → 염증 가라앉음 → 재발]의 패턴을 수년간 반복합니다.
문제는 근본 원인인 신경관 내부 감염을 해결하지 않고, 항생제 복용과 겉 치료만 반복할 경우, 결국 뼈 흡수가 진행돼 발치를 권유받는 상황까지 이르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렇게 '염증이 재발하는 치아를 어떻게 보존할 수 있었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치료 전 진단: 뿌리 끝 염증 + 금속 기둥

해당 치아는 과거 신경치료를 받은 작은 어금니(제2소구치)였고, 크라운 아래에 반복적으로 고름이 차고 터지는 증상이 있어 잇몸에 흉터가 남은 상태였습니다.
뿌리 끝에는 크고 뚜렷한 염증 소견(치근단 병소)이 있었고, 내부엔 다소 큰 금속 포스트(쇠기둥)가 깊게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과거 수차례 항생제를 복용하고, 잇몸을 긁는 처치를 받아왔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았기에, 결국 뼈가 녹아 발치까지 고려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 재신경치료 및 파이버 포스트(Fiber Post) 사용
기존 금속 포스트는 치아 손상 없이 제거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제거를 시도했습니다.
금속 포스트가 다소 큰게 박혀있었기에, 포스트로 인해 치아 내부에 크랙이 생기지 않았을지 우려했습니다.
다만 기둥을 제거해보니 다행히도 치아 내부에 크랙(치아 균열) 소견은 없었습니다.

이후 신경관을 깨끗하게 재치료하고 내부에 약제를 적용하니 염증이 가라앉아, 세 차례로 신경치료를 마무리하고 포스트를 세웠습니다.
신경치료 완료 후, 기둥 보강에는 기존처럼 금속 포스트가 아닌, 파이버포스트(Fiber Post)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금속 포스트보다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 시켜 치아 파절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이버 포스트의 탄성계수가 치아와 비슷하기 때문에, 그 스트레스가 치아로 전가되지 않는다는 여러 논문도 있습니다.)

■ 치료 결과 : 항생제 없이 치아 염증 및 고름 해결

이번 치료 케이스의 핵심은 항생제 도움 없이, 신경관 내부를 깨끗이 했다는 것 만으로 염증이 해결되었다는 점입니다.

치료 후 3년 경과 관찰에서도 해당 치아는 안정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치료로 다행히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고, 뼈의 자연 재생 능력을 통해 건강한 상태로 회복되었습니다.
■ 마무리: 중요한 건 ‘근본적인 원인 치료’
고름이 반복되거나, 항생제가 듣지 않는다고 해서 발치가 답은 아닙니다.
염증의 원인이 신경관 내부에 있다면, 그 내부를 청소하지 않고는 결코 해결되지 않습니다.
포스트 제거 여부는 병원마다 판단이 다를 수 있으며, 가능한 방법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한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본인의 자연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앞으로도 연세마이덴치과는 가능한 한 자연치아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치료 계획을 세워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게시물은 「의료법」 제56조 및 시행령 제23조에 따라 진료 유도가 아닌 일반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개인별 증상과 상태에 따라 치료법과 결과가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은 반드시 의료진의 직접 진료를 통해 받으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게시물이며, 의료광고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Info > 내 치아 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치아 지키는 치아별 맞춤 정기검진 가이드 광화문치과 (0) | 2025.06.26 |
---|---|
염증 치아, 살릴 수 있을까? 재신경치료와 발치 후 임플란트 기준 종로치과 (2) | 2025.06.20 |
셀프 스케일링 괜찮을까? 꼭 알아야 할 구강관리 상식 종로치과 (2) | 2025.06.13 |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남는다면? 자연치아 살리는 법 '치근단절제술' 광화문치과 (1) | 2025.06.12 |
'치근단절제술' 언제 필요한가요? 재신경치료와의 차이점 광화문치과 (0) | 2025.06.09 |